본문 바로가기
복지사회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by 블범 2025. 4. 5.
728x90

이번에는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의 심리사회이론(Psychosocial Theory)에 대해 자세히 설명  이 이론은 인간의 전 생애 발달을 다룬 이론으로, 개인의 심리적 성장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달하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발달심리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개요

  •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을 바탕으로 발전시켰지만, 에릭슨은 성적인 본능보다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맥락을 훨씬 더 강조
  • 인간의 발달은 평생에 걸쳐 진행되는 8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특정한 과제(위기, crisis)**가 존재
  • 이 위기를 건강하게 해결하면 긍정적인 자아 발달로 이어지고, 그렇지 않으면 심리적 어려움

 에릭슨의 8단계 심리사회 발달 단계

단계연령위기(Crisis)긍정적 해결부정적 결과
 기본적 신뢰감 vs 불신감 0~1세 "세상은 믿을 만한가?" 신뢰, 안정감 불신, 불안
 자율성 vs 수치심 1~3세 "나는 스스로 할 수 있을까?" 자율성, 자신감 수치심, 의심
 주도성 vs 죄책감 3~6세 "내가 하는 일이 괜찮은가?" 주도성, 목적성 죄책감
 근면성 vs 열등감 6~12세 "나는 유능한 사람인가?" 성취감, 유능함 열등감
 자아정체감 vs 역할혼란 12~18세 "나는 누구인가?" 자아정체성 혼란, 방황
 친밀감 vs 고립감 20대~초기 성인기 "나는 타인과 깊이 연결될 수 있을까?" 친밀감, 사랑 고립, 외로움
 생산성 vs 침체감 중년기 (30~60대) "나는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는가?" 기여, 돌봄 무기력, 자기중심성
 자아통합 vs 절망감 노년기 (60대 이후) "내 인생은 의미 있었는가?" 지혜, 수용 후회, 절망

 예시로 각 단계

 기본적 신뢰 vs 불신 (0~1세)

  • 엄마가 꾸준히 돌봐주면 신뢰감 형성
  • 불안정한 양육 → 세상은 위험하다는 인식

 자율성 vs 수치심 (1~3세)

  • "혼자 할래!" 시기
  • 스스로 해보게 하면 자율성 발달
  • 너무 통제하면 수치심, 의존성 생김

 주도성 vs 죄책감 (3~6세)

  • 상상 놀이, 질문 많아짐
  • “너는 정말 똑똑하구나!” → 주도성
  • “그만해!” 식 반응 반복 → 죄책감

  이론이 중요한 이유

  • 에릭슨은 심리 발달을 전 생애에 걸친 과정으로 본 선구자
  • 인간은 단순히 어릴 때만 발달하는 게 아니라, 성인기와 노년기에도 계속 성장하고 적응해 나가야
  • 각 단계는 다음 단계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특정 시기에 해결되지 않은 위기는 다음 발달에도 영향

 실생활에서의 적용

  • 교육 현장: 학생에게 성취감을 주는 과제가 중요 (4단계)
  • 청소년 상담: 정체성 형성에 도움 주는 활동 필요 (5단계)
  • 성인기: 관계 형성, 사회적 기여를 통해 의미 있는 삶 설계 (6~7단계)
  • 노년기: 인생 회고를 통해 자아 수용 도와주기 (8단계)

 에릭슨 이론 요약

특징내용
이론 명칭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중심 개념 전 생애에 걸친 심리사회적 위기 해결
발달 단계 수 8단계
중요 요소 사회적 관계, 자아 정체성, 긍정적 해결
영향 받은 이론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
강조점 개인의 심리 + 사회적 상호작용의 통합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