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를 공부해 보자

점유권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by 블범 2025. 3. 3.
728x90

부동산에서의

점유권은 해당 부동산을 사실상 지배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점유는 법적으로 보호받는 권리

즉, 부동산을 실제로 사용하거나 관리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권리로, 소유권과는 구별

 

점유의 유형:

  1. 자주점유와 타주점유:
  2. 자주점유: 자신이 소유자라고 생각하며 부동산을 점유하는 경우   예를 들어, 매매를 통해 부동산을 취득한 후 점유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
  3. 타주점유: 타인의 소유를 인정하면서 부동산을 점유하는 경우  예를 들어, 임차인이 임대인의 부동산을 임대차 계약에 따라 점유하는 상황이 이에 해당
  4. 선의점유와 악의점유:
    • 선의점유: 점유자가 자신의 점유에 대해 정당한 권리가 있다고 믿는 경우
    • 악의점유: 점유자가 자신의 점유에 대해 정당한 권리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

점유권의 법적 보호:

점유자는 자신의 점유를 방해받거나 침해당했을 때, 법적으로 이를 방어하거나 회복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이는 부동산의 안정적인 사용과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점유와 관련된 법적 개념:

  • 점유취득시효: 민법 제245조에 따르면, 타인의 부동산을 20년간 소유의 의사로 평온하고 공연하게 점유한 자는 그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  . 이는 장기간 점유를 통해 사실상의 소유 상태를 법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점유권과 관련된 법적 분쟁이나 자세한 사항은 전문 법률가와 상담하시기를 권장

 

점유보호청구권은 물건을 사실상 지배하는 점유자가 그 점유를 침해받았을 때, 이를 보호하고 회복하기 위해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는 민법에서 점유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규정된 제도로, 점유의 안정성과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 목적

 

점유보호청구권

  1. 점유물반환청구권 (민법 제204조): 점유자가 점유를 침탈당한 경우, 그 물건의 반환 및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 청구권은 침탈자의 특별승계인에 대해서는 행사할 수 없다.
  2. 점유물방해제거청구권 (민법 제205조): 점유자가 점유를 방해받고 있는 경우, 그 방해의 제거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3. 점유물방해예방청구권 (민법 제206조): 점유자가 점유에 대한 방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방해의 예방 또는 손해배상의 담보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점유보호청구권의 특징:

  • 자력구제권 (민법 제209조): 점유자는 점유의 침탈에 대해 스스로 이를 방어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이는 법적 절차 없이도 일정한 범위 내에서 허용됩니다.
  • 소멸시효: 점유보호청구권은 침해가 있은 날로부터 1년 내에 행사해야 하며, 이를 경과하면 권리가 소멸됩니다.

점유보호청구권은 점유자의 권리를 신속하게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소유권 여부와 관계없이 점유 상태 자체를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점유자는 이러한 권리를 통해 자신의 점유를 방해하거나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 법적 대응

728x90

댓글